정부가 인공지능(AI)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AI 국가대표 정예팀’을 선발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대형언어모델(LLM) 개발에 나선다. 이는 미국과 중국 등 글로벌 AI 강국들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AI 투자와 개발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AI 역량 강화 방안 발표
20일,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최상목 부총리 주재로 열린 3차 회의에서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최 부총리는 “국가 AI 역량을 빠르게 강화해야 할 시점”이라며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민·관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내용
정부의 AI 역량 강화 방안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세계 수준의 AI 모델 개발: 한국형 챗GPT를 목표로 하는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이를 위해 국가대표 인공지능 정예팀이 선발되며, 전폭적인 데이터와 GPU 지원이 이뤄질 예정이다.
✅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내년 상반기까지 1만 8000장의 첨단 GPU 확보를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AI 연구 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2030년까지 국산 AI 반도체 비중을 50%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공공데이터 개방: AI 학습을 위한 공공 및 민간 데이터의 대폭 개방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특히, CCTV 영상을 포함한 비정형 원본 데이터의 활용이 확대된다.
업계 반응
AI 업계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환영하고 있지만, AI 인재 확보와 관련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한 IT 플랫폼 관계자는 “뛰어난 AI 인재들이 국내에 머무르지 않으려 한다”며 “GPU 확보와 함께 AI 인재에 대한 인센티브 및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정부의 AI 역량 강화 방안이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한국은 글로벌 AI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I 기술 발전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더욱 구체화되기를 바라며, 앞으로의 성과에 귀추가 주목된다.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레(MOREH), 한국형 LLM 개발 참여 선언 🚀 (0) | 2025.02.24 |
---|---|
🚀 일론 머스크의 xAI, 차세대 AI 모델 '그록-3' 출시! (4) | 2025.02.23 |
생성형 AI란? ChatGPT부터 미드저니까지, 미래를 바꾸는 AI 기술 (1) | 2025.02.19 |
엔비디아, 투자 포트폴리오 대폭 조정 (2) | 2025.02.16 |
일론 머스크와 샘 올트먼 간의 갈등 오픈AI 인수 제안과 그 반응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