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 정부와 주요 금융기관, 민간 기업들이 중국에서 개발된 인공지능(AI) 서비스인 딥시크(Deepseek)에 대한 차단 조치에 나섰습니다. 행정안전부는 4일 중앙 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보안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는 공문을 발송했습니다. 이로 인해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여러 정부 기관이 딥시크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차단했습니다.
딥시크는 지난 1월 20일 출시 이후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며 한국에서도 120만 명 이상의 이용자를 확보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조치는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이루어졌습니다. 딥시크는 사용자의 이메일, 전화번호, 생년월일, 채팅 기록, 그리고 기술정보(휴대폰 모델, 운영 체제, IP 주소, 키 입력 패턴 등)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특히, '키 입력 패턴'을 수집하는 방식은 다른 AI 서비스와 차별화된 점으로,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를 증대시키고 있습니다.
딥시크는 옵트아웃(opt-out)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 사용자들이 수집된 데이터의 활용을 거부할 수 없습니다. 반면, 챗GPT와 같은 다른 AI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데이터 수집을 거부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어, 이 점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강정수 블루닷 AI연구센터장은 "딥시크의 옵트아웃 기능 부재가 가장 큰 문제"라고 언급하며, 이는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어떻게 사용될지에 대한 불안감을 초래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국제사회에서도 딥시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뿐만 아니라 호주, 일본, 대만 등 여러 나라에서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이탈리아는 아예 앱 다운로드를 차단했습니다. 미국의 경우, NASA와 해군 등 연방 기관에서도 딥시크 사용을 막았습니다. 이러한 국제적인 반응은 딥시크의 보안 문제가 단순히 한국 내에서만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합니다.
중국 정부는 딥시크의 데이터 수집 방식에 대해 "법에 따라 보호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사용자들은 중국 정부가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습니다. 강정수 센터장은 "딥시크가 수집한 데이터가 중국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정보 유출의 위험이 존재한다"고 경고했습니다.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개인정보 보호 문제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딥시크 차단 조치는 AI 서비스 사용 시 데이터 보호와 보안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필요함을 일깨우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 딥시크가 사용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AI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 문제는 더욱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각국 정부는 이를 반영한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AI 서비스에 대한 규제와 사용자 보호 방안이 강화되기를 기대합니다.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인공지능 국가대표 정예팀’ 선발…세계 최고 LLM 개발 나선다 (1) | 2025.02.21 |
---|---|
생성형 AI란? ChatGPT부터 미드저니까지, 미래를 바꾸는 AI 기술 (1) | 2025.02.19 |
엔비디아, 투자 포트폴리오 대폭 조정 (2) | 2025.02.16 |
일론 머스크와 샘 올트먼 간의 갈등 오픈AI 인수 제안과 그 반응 (0) | 2025.02.11 |
글로벌 AI 정상회의 푸잉 전 중국 외교부 차관, 벤지오 교수의 AI 안전 보고서 비판 (2) | 2025.02.10 |